저는 매년 5월에 하는 종합소득세 신고를
개인 사업 시작 이후부터 지금까지 쭉~
세무사에게 맡겨서 해왔습니다.
종소세 신고는 그렇다 치더라도
부가세 신고는 수임료를 지불하면서까지
세무사에게 맡기기가 좀 그랬습니다.
그래서 혼자 해 보기로 했고
그동안은 그럭~저럭 문제없이
해 왔던것 같습니다.
혼자해오고 느낀 결론은
' 어? 뭐야? 쉽네?
혼자할 수 있잖아.
전혀 어렵지 않네.
그리고 돈까지.... 여러모로? 굳는다. ^^; '
입니다.
로그인 부터 신고 완료까지
완전 극초보모드로 따라하기만 해도 부가세 신고를 완료할 수 있도록
모두 캡쳐해서 설명할 예정입니다.
개인적으로 그닥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용어나 개념에 대해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개인적으로 따로 검색해서 알아보시고
이 글은 어디까지나 부가세 신고를 혼자 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해주는데 포커스를 맟추려고 합니다.
내용이 많기 때문에 총 2부로 나눠서 설명할 예정입니다.
2022.07.24 - [Money] - 혼자서 부가세 신고를 하기 위한 극초보용 설명 2부
아무쪼록 혼자서 부가가치세 신고를
잘 마무리 하시고 사업또한 번창하시길 바라며
차근차근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어렵더라도 따라오시길 부탁드립니다.
1. 홈택스 로그인 합니다.
![]() |
![]() |
2. 로그인 첫 화면에서 아래 사진처럼 신고/납부 ---} 부가가치세 순으로 클릭합니다.
3. 다음 첫 화면의 안내사항은 대충 훑어보시고 닫기 눌러주시고
위 사진의 빨간네모부분 정기신고(확정/예정) 클릭합니다.
4. 2022년 1기 확정 체크되어있는 것 확인 대충하고
화살표, 네모부분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후 확인 눌러주세요
5. 위 4번처럼 확인 누르면 사업자세부사항이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상호(법인명), 성명(대표자), 법인번호, 주민등록번호, 사업장 주소 등을 대충 확인하시고
제대로 채워졌으면 화면 제일 아래 부분의 빨간 네모부분의 저장 후 이동 클릭해줍니다.
6. 저장 후 다음화면으로 이동하시겠습니까? 라는 문구의 팝업 창 뜨는데
주저 없이 확인 눌러주세요
앞으로 이런 팝업 뜨면 확인 눌러주시면 됩니다. 추후 설명 안하겠습니다.
7. 예정고지세액을 미리 냈다면 아래 사진의 네모부분 예정고지세액에 체크해 주시고
저장 후 다음이동 클릭해 주세요
지금까지는 아주 기본적이고 가독성이 좋아 따라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었을 겁니다.
자 이제부터는 가독성이 떨어지는 항목들이 나타나니 조금만 집중해 주세요
따라만 하면 큰 어려움은 없을 겁니다.
8. 아래 사진의 과세 세금계산서 발급분 항목의 빨간 네모부분 작성하기 클릭해 주세요
9. 아래 사진처럼 사업자등록번호 발급분의 매출처수 부분에 커서가 깜빡거리면서 다음 화면이 나타나는데
빨간 네모, 화살표 부분의 전자세금계산서 불러오기 클릭해줍니다.
10. 아래 사진의 팝업창 뜨면 확인 눌러주세요
11. 위 10번의 확인 누르면 아래 사진처럼 매출처수 와 매수 / 공급가액(원) , 세액(원) 부분이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화면 제일 아래로 스크롤 내려서 아래 두번째 사진의 빨간색 네모, 화살표 부분의 입력완료 클릭해주세요
지금 이 글에서는 전자세금계산서 위주로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종이세금계산서 발급분 부분은 본 블로그에서 따로 정리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2. 위 11의 입력완료 누르시면 아래 사진의 별표 부분 합계가 채워지네요.
대충 보고 빨간색 화살표 부분의 과세표준명세 작성하기 클릭해 주세요
13. 아래 사진의 빨간색 네모부분의 금액을 빨간색 원, 화살표 부분에 똑같이 입력 해 주세요.
그리고 저장 후 다음이동 클릭
아주 가끔 집에서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으로 작성 중 13번까지 정확하게 입력하고 저장 후 다음이동 눌렀는데 ' 매출금액의 합계와 과세표준명세 합계가 다릅니다. ' 라는 팝업이 뜨면서 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피씨방이나 집에 있는 다른 컴퓨터 로 아이디 로그인해서 다시 한번 작성해 보세요.
저도 이번에 신고 작성 중 이런 오류가 떠서 한참 있다가 다시 시도해 봤지만 계속 오류가 뜨더군요
해결책은 의외로 간단했습니다. 제 컴퓨터 문제였나봅니다. 다른 컴퓨터로 하니까 잘 되더라구요
이 오류가 꼭 이 부분에서만 나타나니 당황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아주 가끔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어쨌든 잘 되었다면 아래 사진의 빨간 네모부분처럼 금액이 입력이 되어 나타납니다.
14. 이제는 부가세를 혼자하는 진짜 의미인 매입세액을 공제나 불공제로 나온 부분을 변경하도록 하겠습니다.
무슨 뜻이고 개념도 잘 모를 수도 있겠지만 지금은 그저 혼자서 부가세를 해내는 데에만 초점을 맞춰서 무조건 따라해 보는 식으로 진행해 보시길 부탁드립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매입세액의 불공제 처리된 것을 공제로 바꾸는 과정인데요
사업을 운영하는데 있어 드는 운영비용, 구입비용, 수리비용 등을 직접 공제 처리 해주는 단계입니다.
원래는 자동으로 처리가 되어야 하지만 운영비용 이라는 게 그 범위가 워낙 넓다보니 직접 처리해줘야 하는 경우가 있죠
공제를 많이 받아야 부가세가 조금이라도 줄어드니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설명 들어가겠습니다.
13번까지 완료 후 금액 제대로 입력된 것을 확인하셨으면
마우스 스크롤을 올려 주세요
그럼 아래 사진의 화살표 부분의 조회/발급 부분을 클릭해 주세요
신고서 작성 중에 조회/발급 클릭하면 그동안 작성한게 다 없어지지 않을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지금까지 작성된 내용은 저장이 되어서 나중에 작성중 신고서 불러오기 하면 아무 문제 없습니다.
아무튼 조회/발급 누르면 아래 화면이 나타나는데 화살표 부분의 사업용신용카드 클릭해 주세요
그리고 빨간 별표의 매입세액 공제 확인/변경 클릭해 주세요
매입세액 공제 확인/변경 을 클릭이 안된다면
홈텍스 로그인 할 때 기본적으로 대표자 개인( 김 * * )으로 로그인 되어있을테니
사업자 ( 대 *** )로 변경 해 주세요
팝업 뜨면 확인 눌러주세요
잘 보시면 기존 개인 김** 에서 사업자 대*** 으로 바뀐게 보입니다.
15. 14의 설명이 길었네요 ㅠㅠ
최대한 초보의 입장으로 설명하려다 보니 그러니 이해 부탁드립니다.
너무 설명이 길면 사진 위주로 진행해 주세요
이어서 설명합니다.
14의 매입세액 공제 확인/변경 누르면 아래 사진의 빨간 네모부분을 체크해 주시고 빨간 별표의 조회하기 클릭해주세요
지금 하고자 하는 부가세 신고는 1분기, 2분기를 포함한 상반기 분 입니다.
즉 1분기와 2분기의 불공제대상을 공제로 바꿔주는 작업이니 우선 1분기 변경 후 2분기도 해주어야 합니다.
사진의 1, 2, 3 체크해 주시고 조회하기 눌러주세요~
16. 아래 사진의 빨간 원 부분을 보면
1분기 총 340건 결제 내역이
총 34페이지에 걸쳐
불공제 내역이 나타났습니다.
사업 운영비와 연관된 공제 받고자 하는 항목 부분에
1번 별표 부분 체크하시고
2번 공제여부 결정 부분 변경하시고
빨간 화살표 부분의 변경하기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런 식으로 페이지 넘겨가면서 확인하고 변경해주면 됩니다.
1분기 다 변경하면 2분기도 변경해 주시고요~
1, 2분기 모두 확인해가며 변경하려면 시간이 좀 걸릴겁니다.
역시 세상은 공짜가 없네요~ 그래도 다 하고 나면 뿌듯할겁니다.
조금만 참으시길...
자 이제 무아지경 타임입니다. ㅎㅎ
하다보면 왜 무아지경에 빠지는지 알게 됩니다.
지금까지 부가세 혼자하기 극초보용 1부였습니다.
너무 자세하게 설명하다보니 글이 길어져서 내용이 너무 산만해 질 것 같아 다음 설명은 2부에서 진행하겠습니다.
'Mone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세금계산서용 공동인증서 갱신을 놓쳐서 재발급 할 때 주의할 점 (0) | 2022.09.08 |
---|---|
혼자서 부가세 신고를 하기 위한 극초보용 설명 2부 (0) | 2022.07.24 |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첨부파일 중 부가가치세 확정신고서 발급 및 저장 (0) | 2022.06.14 |
급여통장용 카카오뱅크 통장사본 발급하기 (0) | 2022.06.09 |
SK텔레콤 선택약정 만료 후 재가입 하려 GO YO! (0) | 2021.04.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