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무언가를 바란다면 아이처럼 꾸밈 없고 솔직하게 기도해라
새끼 독수리 비행일지

우리 아이의 뇌는 더 발달 할 수 있다 - 뇌가소성 이론

by 자이언 2025. 1. 16.
반응형

뇌가소성 이론이란 두가지 측면 즉

1. 뇌기능적

2. 뇌구조적 

인 부분에서 경험이나 학습, 자극, 여러 환경에 의해 뇌가 변화된다는 이론이다.

참고로 두뇌 발달 만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닌 뇌의 변화를 이야기 하는 개념임을 이해하자.

 

 

1. 뇌기능적 가소성의 예 - 기능적 변화

'어 뇌가 이런 기능을 하네? 못할 걸로 생각했는데?'

 

시각장애인들은 으로 보지 못하기 때문에 시각정보처리를 담당하는 후두엽 발달이 더딜 것으로 예상했지만 눈을 대체하여 눈이 아닌 다른 신체( 흔히 손 )를 사용 할 때 후두엽이 활성화 된다.

 

2. 뇌구조적 가소성의 예 - 구조적 변화

' 어 뇌세포가 커졌네? 두꺼워졌네? '

 

저글링 훈련을 많이 한 사람은 물체의 지각 능력과 연관된 뇌 피질의 두께가 두껍다

 

 

위에서 볼 수 있듯이 구조적 변화 (즉 뇌를 구성하는 세포의 구조가 변화됨)는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능력 즉 기능적 변화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둘은 상호 영향을 준다.

 

저글링 훈련 ---} 대뇌피질 두께 두꺼워짐 ---} 인지능력 발달 ---} 다른 훈련(운동) 잘하게 됨

 

이 운동을 잘하면 다른 운동도 잘한다.

 

뇌가소성 이론은 뇌과학의 발달과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난 뇌에 대한 관심속에서 꾸준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론을 넘어서 실증적 움직임으로 확산

 

특히 유아 및 아동 들을 대상으로 뇌를 변하게 하기 위해 수많은 연구와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였고 그 효과가 검증되고 있다.

뇌과학자 들의 ( '뇌가 변할 수 있다'는) 믿음이 증명되고 있는 셈이다.

 

 

경계선 지능 아동들에게 희망적인 단어인 뇌가소성은 최근 교육신경학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는 학생들의 뇌가소성을 높이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이다.

그리고 꽤 긍정적 결과들이 나타났다.

 

뇌가소성 이론은 유아, 아동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까지.

좀 더 나아가서는 성인이 될 때까지 적용시킬 수 있는 개념임을 절대 잊지 말자. 

그러니 아이들에게 시간이 별로 없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변화 시킬 수 있는 충분히 많은 시간과 기회와 전문가들의 연구 및 프로그램이 있으니 혹여 좌절하고 포기하지 않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어떤 일이고 이뤄져라 호잇 ! 하고 쉽게 이뤄지는 것은 없다.

인고의 시간을 겪어야 할 것이다.

대신에 그 시간을 경험한다면 반드시 강해질 것이다 라는 굳센 믿음이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