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매매(사고 팔때) 시에 발생하는 비용에는
크게 회사에 내는 수수료와 국가에 내는 세금이 있습니다.
요즘 광고에서 가끔 흔하게 볼 수 있었던 수수료 무료혜택 이라는 말이 반은 맞고 반은 틀린말일 수 있다는 걸 아시나요?
왜냐하면 회사에 내는 수수료만 무료혜택이고 나머지는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특히 매도)
즉 내 돈 나간다는 뜻임.
위와 같은 개념이 있는 사람들에게는 맞는 말이 되지만 무조건 돈이 안든다고 생각하는 개념미생성자 분들에게는 거짓말이 되는 셈이죠
그래서 개념에 대한 정리를 해 보려고 합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주식 매수 즉 살 때에는 2가지 비용이 발생합니다.
1. 증권사수수료(무료 or 0.014%)
2. 유관기관수수료: 0.002~5%
주식 매도 즉 팔 때에는 3가지 비용이 발생합니다.
1. 증권사수수료(무료 or 0.014%)
2. 유관기관수수료: 0.002~5%
3. 증권거래세: 0.25%
개념 찌끔 파악(학자 될거 아니니 결과만)
정리 기준 : 국내 // 코스피 // 코스닥 ( 그 외는 정리 X )
1. 증권사 수수료
* 회사에 내는 돈 - 위탁거래수수료 라고 함
* 요새 수수료 평생무료라고 하는 광고가 바로 이부분을 말하는 거임.
증권사마다 다르지만 대개의 회사에서 0.014% 정도로 받음(모바일기준)
2. 유관기관수수료
* 증권사가 한국거래소와 한국예탁결제원에 납부해야 하는 수수료를 말함
* 무료없음 무조건 내야함
* 증권사마다 다름
* 대략 0.002~0.005% 사이에서 결정
100만원 매도시 50원 이하의 금액으로 50원으로 계산한다해도 극히 작은 비용이므로 크게 신경쓸 필요 없을 듯.
실제로 아는듯 모르는듯 대다수가 신경 안씀.
3. 증권거래세
* 국가에 내는 세금으로 무조건 내야 함
*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팔 때(매도)만 냄
* 세금이므로 모든 증권사 동일
*손해를 보고 팔아도 세금은 내야함(꼭 여기에만 해당 되는 것은 아니지만 왠지 이 부분이 크게 느껴져서 정리)
위 개념 탑재하고 예제 풀기
Q1) 100만원어치 매수할 때 드는 비용
증권사수수료 : 140원
유관기관수수료 : 50원
총 190원 수수료 발생
Q2) 100만원어치 매도할 때 드는 비용
위와 동일 + 증권거래세
증권거래세 : 2,300원
총 2490원 비용 발생
어플에서 확인 시 제비용:2490원 찍힐 것임.
제 비용이란 그냥 여러 명목으로 비용이 들었다는 뜻입니다.
그밖에(지금 당장 몰라도 됩니다)
추후 변경 될 증권거래세 참고
또다른 참고글
2021.04.04 - [Stock Sunnyside/주식 관련 지식] - 주식 매도할 때 손해를 봐도 세금낸다고 ?(part. 증권거래세)
돈을 떼어가는 데 우리의 이익과 손해는 고려대상이 아닙니다.
손해를 보아도 떼어 갈건 떼어 가는 것이죠. ㅠㅠ
그러니 신중해야 하는 건 우리 몫입니다.
'Stock Sunnyside > 주식 관련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상증자 발표했더니 급등하네 이게 모모지? (0) | 2022.03.23 |
---|---|
주식수익률 일반항 공식 (feat. 추가적립금) (0) | 2021.04.13 |
100만원으로 70억! 10년간 마하세븐의 하루평균수익률은? (0) | 2021.04.12 |
턴어라운드(Turnaround)가 좋은 말인 건 알겠는데 정확한 뜻이 궁금해 (0) | 2021.04.06 |
주식 매도할 때 손해를 봐도 세금낸다고 ?(part. 증권거래세) (0) | 2021.04.04 |
댓글